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ChatGPT에게질문하기
- 검정고시안내
- 코로나19백신연례화
- 치킨값인상
- 고졸검정고시
- 검정고시접수
- 중졸검정고시
- 소액생계비대출지원대상
- 코로나백신연례화
- SM엔터테인먼트경영권분쟁
- 교촌치킨값인상
- 코로나19백신올해무료접종
- 코로나19백신무료접종
- Ai
- 코로나백신연1회접종
- 코로나백신올해무료접종
- 코로나19백신연1회접종
- ChatGPT
- 카카오하이브
- 코로나백신무료접종
- 소액생계비대출방법
- ChatGPT에게물어보기
- SM경영권분쟁
- 마스크의무해제
- 초졸중졸고졸검정고시
- 교촌치킨가격인상
- 검정고시
- 검정고시응시
- 국민연금손실
- 초졸검정고시
- Today
- Total
mimicat77
소득 하위 20%, 복권 지출 27% 증가 본문
지난해 소득 하위 20% 가구의 복권 구매 지출이 1년 전보다 30%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, 통상 복권 구매는 경기가 안 좋을 때 늘어나는 경향이 있습니다.
3월 8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(KOSIS)에 따르면, 지난해 전국 1인 이상 가구의 월평균 복권 구매 지출액은 703원으로, 1년 전보다 1.4%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. 전국 1인 이상 가구의 월평균 구매 지출액은 복권을 아예 구매하지 않은 가구를 포함해서 집계한 평균치로, 실제 가구의 복권 구매비와는 차이가 있지만, 전년 대비 증감 여부나 증감 폭은 비교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.
소득 분위별로 보면, 소득 하위 20%에 속한 1분위 가구의 복권 구매 지출액은 전년 대비 27.4% 급증했는데, 전체 소득 분위 가운데 가장 큰 폭의 증가세를 나타냈습니다. 같은 기간에 소득 상위 20%인 5분위 가구의 복권 구매 지출액은 7.0% 증가하는 데 그쳤습니다.
물가 상승률을 반영한 실질 지출을 보면, 소득 상·하위 계층의 차이는 더욱 벌어지는데, 지난해 1분위 전국 가구의 실질 복권 구매 지출액은 21.2% 증가했지만, 5분위 가구는 1.8% 증가하는 데 그쳤습니다. 소득 하위 20%의 복권 구매 지출 증가율은 소득 상위 20%의 10배가 넘는 수치입니다.
전체 가구의 실질 복권 구매 지출은 오히려 1년 전보다 3.5% 감소했는데, 지난해 고물가 탓에 가계가 지갑을 닫는 와중에도 소득 하위층의 복권 구매 지출은 20% 넘게 증가했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.
이처럼 복권 관련 지출이 늘어나면서, 복권 판매액도 매년 최대치를 경신하고 있는데, 지난해 연간 복권 판매액은 6조4292억 원으로 전년(5조9753억 원)보다 7.6% 증가하여, 사상 처음으로 6조원을 돌파했습니다.
정부는 올해도 사상 최대 금액인 6조 7천억 규모의 복권을 발행할 예정입니다.
최근 5년간 복권 판매액은 ▷2017년 4조2000억원, ▷2018년 4조4000억원, ▷2019년 4조8000억원, ▷2020년 5조4000억, ▷2021년 5조9753억원입니다.
'일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'스즈메의 문단속' 개봉 첫날 박스오피스 1위 (0) | 2023.03.10 |
---|---|
조폭, 가짜 노조 & 가짜 환경단체 만들어 협박 갈취 (0) | 2023.03.10 |
정부, 메타버스 사업에 277억원 지원 (0) | 2023.03.09 |
청년도약계좌, 5년 납입 5000만원 지급 (0) | 2023.03.08 |
경찰청, 다크웹·가상자산·디도스 범죄와의 전쟁 (0) | 2023.03.08 |